반응형

제주 올레 4박 5일 간의 중간 일정에 한라산 백록담 등정이 계획되어 있어서, 성산에서 성판악 코스까지 버스로 이동을 하고 본격적으로 등반을 시작하였다.

 

물론 장마 기간으로 인하여 아침부터 빗속을 뚫어야 했지만, 그래도 목표는 목표니까 성판악 탐방로에 발길을 내밀었다.

 

아래 사진은 성산부터 버스타고 출발을 하여 한라산 진달래밭 대피소(해발 1700m 쯤)에서 장마로 인한 기상 악화로 인하여 1시간 정도 대기를 하다가, 결국 백록담 등반을 취소하고 다시 성판악 코스로 하산을 하는 사진들이다.

 

 

성산에서 출발하는 제주행 버스- 반드시 '교래리'로 가는 버스를 타야 한다.

 

 

 

 

성산항 근처에서 '교래리'를 거쳐가는 버스를 시간 맞춰 타면 된다.

 

 

제주 내륙의 명소, 절물휴양림을 지나고 교래 입구 버스 정류장에서 내렸다.

 

 

교래 입구 버스 정류장에서 성판악 휴게소에 가는 버스를 기다리며...

 

10여분 기다리니까, 버스가 오더라. (생각보다 버스가 잘 오더라...)

 

 

여기는 성판악 휴게소에서 버스를 내리면 바로 나타나는 '성판악 탐방 코스'.

 

입장료는 무료이고, 대신 주차장은 주차 요금을 내야한다.

 

 

 

비오는 날, 성판악 탐방로를 오르는 중-

 

 

비오는 날, 성판악 탐방로를 오르는 중-

 

탐방로 시작하자 마자, 해발 고도 800m를 찍는다. 그러면 백록담까지 1,100m만 올라가면 된다는 뜻이다.

 

 

성판악 탐방로 입구 근처에서 백록담까지 등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정표-

 

 

속밭 대피소에서 백록담까지 등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정표-

 

 

백록담 오르기 전에 나타나는 사라오름.

 

안개가 너무 많이 껴버려서, 사라오름을 제대로 구경하지 못했다.

 

 

 

사라오름 입구 지나고 백록담까지 등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정표-

 

 

백록담에 오르기 위해서는 진달래밭 대피소에 오후 1시까지 올라와야 한다.

 

그래야 하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해서 안전한 등산을 할 수 있으니까 말이다.

 

 

 

각각의 코스에서 소요되는 시간과 등산 안내-

 

 

진달래밭 대피소에서 한컷.

 

 

진달래밭 대피소에서 꿀맛같은 라면과 연양갱 그리고 스프라이다.

 

 

높은 정상 임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생각보다 저렴하더라.

 

 

오전 11시경 백록담에서 기상 특보 발효로 다들 이렇게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입산 통제 오후 1시까지 2시간이 남았는데, 기상 특보로 인한 입산 통제가 해제되길 기다리는 중-

 

 

 

아- 갑작스런 비구름이 진달래밭 대피소까지 내려오는구나.

 

결국 안전을 위해 백록담 등정 포기하고, 아까 올라왔던 성판악 코스로 다시 내려가기 시작했다.

 

 

제주 한라산의 아름답고 신비한 백록담을 못 봤지만, 한라산에서 이렇게 사슴을 보았으니까 위안이다.

 

 

 

 

결국 갑작스런 기상 악화로 인하여 등정 1시간을 남겨두고 한라산 등정을 못한게 아쉽지만, 다음에도 오를 기회와 이유가 생겼다는 것에 스스로를 위로하고 격려한다.

 

성판악 코스를 오르다 보니, 생각보다 완만한 코스에다가 그리 힘들지 않은 코스였던게 기억에 남는다. 아니면, 꾸준한 등산 활동으로 인하여 등산 체력이 좋아졌을수도 있겠다.

 

아무튼 날씨가 좋을 가을에 다시한번 도전을 해야겠다. 아마 그때는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할 수도 있겠다. 만약, 그 사람이 등산이 힘들다고 의사를 표현하면, 그 사람이 좋아하는 관광지와 명소로 좋은 시간을 보내야겠다.

반응형
반응형

제주 올레 4박 5일의 마지막 날,

공항 근처로 이동을 하여서 한라병원 뒷편에 위치한 '해오름 식당'에서 맛있는 흑돼지 삼겹살을 먹었다.

 

일행이 없어 혼자임에도 불구하고, 1인 손님을 받아 주시고,

1인상을 차려주신 사장님과 이모에게 감사 인사를 표현하고 싶다.

 

 

 

 

 

 

 

 

 

 

 

 

제주 '해오름 식당'에 찾아 가려면 아래와 같이 찾아가면 된다.

한라병원 인근에 내려서 남녕 고등학교와 놀부네 보쌈이 끼어있는 골목길로 우회전을 하여서 5분 정도 걸어가다 보면 가게가 보인다.

 

반응형
반응형

이번 여행에서 올레길 2코스, 3코스, 10-1코스, 우도 코스를 걸어서, 비도 오고 하니까 잠시 쉬어가는 차원에서 엉또 폭포, 쇠소깍, 건축학 개론 한가인의 집을 구경하고, 성산 일출봉으로 와서 경미 휴게소에서 그 유명한 문어 라면을 먹었다.

 

올레길도 좋지만, 제주 여행지를 가볍게 관광하는 것도 괜찮은 듯 싶다. ㅎㅎㅎ

 

 

엉또 폭포의 입구에서 발견한 제주 올레 7-1코스, 나중에 여기 걸어봐야겠다.

 

 

엉또 폭포 가는 길-

 

 

엉또 폭포를 안내하는 올레 표시-

 

 

 

엉또 폭포 바로 옆에 위치한 무인 카페-

 

 

전날 많은 비와 장마 기간 임에도 불구하고 물 한방울도 떨어지지 않는다.... ㅜ.ㅜ

 

 

 

엉또 폭포 옆에 있는 무인 카페를 안내하는 우체통- 예쁘죠?

 

 

 

무인 카페에서 많은 포스트잇 편지들을 보다.

 

 

가볍게 글을 쓰고 찰칵!

 

 

쇠소깍을 알리는 표지판-

 

 

 

 

 

너무나도 멋진 장관을 이루는 돌로 이루어진 명소!

 

 

 

 

 

 

 

 

 

여기도 올레 코스와 연계된 곳이구나!

 

 

 

위미항에 위치한 건축학 개론 '한가인의 집'

 

그러나 무척 실망만 하고 돌아온 여행지. 올해 11월달 즈음에 카페로 재오픈을 한다고 하는 과연?

 

 

 

 

 

 

성산 일출봉 근처 경미 휴게소에서 먹은 맛있는 문어 라면!

 

가격은 5,000원인데, 문어가 정말로 듬뿍 들어있다. 그리고 조개도 서비스도 후훗.. ㅎㅎ

 

 

 

제주의 밤을 찾아오게 만드는 아름다운 석양.

 

 

제주 올레 4박 5일차, 마지막 밤을 가자올레 게스트하우스에서 묵다.

 

 

가자올레 게스트 하우의 내부.

 

정말 아기자기한 소품과 인테리어가 돋보인다.

 

 

 

 

밖에서 바라본 가자올레 게스트하우스.

 

시설 만족도는 ★이지만, 사장님의 서비스와 느낌은 ★★★ 정도 주고 싶다.

 

하루 숙박비는 2만원이고, 오전과 오후에 걸쳐서 만원을 내면 낚시 체험을 할 수가 있다.

 

그리고, 그날 손님은 나혼자여서, 거기에 계신 스텝 형님께서 차려주신 식사를 저녁, 담날 아침 이렇게 무료로 맛있게 먹었다. 정말 맛있게 잘 먹었습니다.

 

 

가자올레 게스트 하우스 옆에서 구경할 수 있는 제주 느낌의 돌담과 거리-

 

 

가파도에 가기 위해 모슬포항으로 가는 길에 찰칵-

 

반응형
반응형

제주 올레길 4박 5일 간의 마지막 날, 1박2일 촬영지인 가파도에서 좋은 시간을 보냈다.

 

신기한게, 제주도는 흐린 날씨와 가벼운 빗속이었는데, 모슬포항에서 배를 타고 가파도에 오니까 해가 쨍쨍하게 비취더라. 얼마나 즐거웠던지- ^^

 

그리고 가파도 올레 11-1코스는 5km정도 되는 짧은 코스여서 대략 1시간 30분이면 가볍게 올레길을 걸을 수가 있다. 그래서 2시간마다 있는 배를 타고 제주도와 가파도를 가볍게 왔다갔다를 할 수 있다.

 

사실 마라도에 가고 싶기는 했지만, 이번 여행의 목적은 올레 코스이었기에 가파도에 왔다. 그래도 가파도에서 마라도가 잘 보인다. 물론 제주도도 잘 보인다. ㅋㅋㅋ

 

 

 

 

 

 

 

 

 

 

 

 

 

 

 

 

 

 

 

 

 

 

 

 

 

 

 

 

 

 

반응형
반응형

지금까지 제주 올레길을 1코스, 2코스, 3코스를 했고, 중간중간 7-1코스, 11코스를 둘러 보기는 했지만, 지금 내 여행 추억에는 가장 최고의 올레길 코스로 기억 남게될 올레길 3코스 이다.

 

올레길 3코스 시작점 찾아 가려면, '효돈 중학교'에서 내리고 '혼인지 마을 종합센터'에서 시작을 하면 된다.

 

그런데 올레 3코스 완주 거리가 무려 21km 정도 되고, 7-8시간이 소요되는 난이도()가 있는 올레 코스이다. 거기다가 중간중간 통오름, 독자봉, 김영갑 갤러리 두모악, 표선 해수욕장 등 정말 아름답고 멋지고 자연스러운 풍경과 명소에 감탄을 금치 못할 정도이다.

 

그리고 통오름에서 보았던, 모구리... ㅜ.ㅜ

 

정말 장관이었고, 아름다웠고, 벅찼다. 그래서 아주 큰 소리로 메아리를 울려 퍼뜨렸다. 너무나도 멋진 경관으로 인하여서 말이다.

 

그러나 모구리 근처에서 갑작스런 소나기로 인하여서 많은 사진을 못 담은 것이 두고두고 아쉬운 부분이다. 정말로.

 


올레 3코스 시작을 알려주는 포인트!

 

 

혼인지가 아니라 혼인지 마을 종합센터이다.

 

 

혼인지 종합 마을 센터 앞에 있는 비석과 장식들-

 

 

가볍게 올레 표지판 찰칵!

 

 

올레 3코스 중에 발견한 싱싱한 꽃!

 

 

모구리에서 장관은 너무나도 멋졌는데, 소나기로 사진을 못 찍은 것이 아쉽다. 그래도 이거라도 찍어서 다행이다.

 

 

독자봉을 안내하는 올레길-

 

 

독자봉에 올라가는 청아한 계단?!

 

 

독자봉에서 바라본 사진들-

 

 

독자봉에서 바라본 사진들-

 

 

독자봉에서 찰칵!

 

 

독자봉에서 내려오고 '잠도둑'이란 글귀와 예쁜 올레 표시를 찰칵!

 

 

모구리 쉼터를 알리는 이정표.

 

 

모구리 쉼터에서 맛있게 먹은 계란 라면!

 

가격도 참 착한 3,000원!!!!!!!!!!!

 

 

너무나도 예쁜 모구리 쉼터!

 

아래 사진부터는 사진 작가로 유명한 김영갑 갤러리 두모악!

 

 

 

 

 

 

 

 

 

 

김영갑 갤러리 근처의 카페-

 

나중에 좋은 사람하고 꼭 들러야 겠다.

 

 

벽이 토속적이어서, 올레 표시 찰칵!

 

 

습관적인 올레 표시 이정표 찰칵!

 

 

올레길 걷느나 고생한 나의 등산화와 아기자기한 올레 표시-

 

 

올레 3코스가 끝나가는 어느 해변가의 초원에서-

 

 

올레 3코스가 끝나가는 어느 해변가의 초원에서-

 

 

올레 3코스가 끝나가는 어느 해변가의 초원에서 소가 절벽에서 풀을 뜯어 먹고 있다- ㅋㅋㅋㅋ

 

 

소를 위해 기념촬영 찰칵!

 

 

습관적인 올레 표시 찰칵!

 

 

올레 3코스 거리 찰칵!

 

 

하천리의 배고픈 다리라는데 다리가 잠기면, 무려 3km를 돌아가야 한단다.

 

 

올레 3코스가 거의 끝나가는 곳에서-

 

 

올레 3코스가 거의 끝나가는 곳에서

 

 

올레 3코스가 거의 끝나가는 표선비치 해수욕장에서-

 

 

올레 3코스가 거의 끝나가는 표선비치 해수욕장에서-

 

 

올레 3코스가 거의 끝나가는 표선비치 해수욕장에서-

 

 

올레 3코스가 거의 끝나가는 표선비치 해수욕장에서-

 

 

올레 3코스가 거의 끝나가는 표선비치 해수욕장에서-

 

 

올레 3코스가 거의 끝나가는 표선비치 해수욕장에서-

 

 

올레 3코스가 거의 끝나가는 표선비치 해수욕장에서 본 올레 안내소-

 

 

나중에 제주도에 캠핑을 오게 된다면, 표선비치 해수욕장이 있는 야영장에 와서 낭만적인 캠핑을 보내 봐야겠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