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성산 일출봉에서 가까운 우도.

 

제주도라는 섬에서 가까운 곳에 또다른 섬인 우도.

 

아쉽게도 비가 내린 뒤에 흐린 날씨로 인하여 제대로 된 우도를 살피지 못하였다. 정말 아쉬웠던 순간이었지만, 날씨가 좋을 때 다시 한번 와야겠다.

 

 

 

 

 

 

 

 

 

 

 

 

 

 

 

 

 

 

우도 여행을 마치고, 올레 3코스로 가려는데, 밥은 먹고 시작하지 않겠나? ㅎㅎ

 

그래서 성산일출봉 쪽으로 걷고 나서, 가볍게 햄버거 하나를 먹고 올레 3코스를 시작 하였다. 아래 사진은 올레 3코스로 가는 도중에 찍은 성산 일출봉 근처 사진들이다.

 

 

 

 

반응형
반응형

첫날, 제주 공항에 오후 1시쯤에 도착을 하고 성산일출봉으로 동일주 제주 노선을 타고 1시간 30분 가량 지난 후에 성산일출봉 입구에 도착을 하였다.

 

올레 2코스 시작점에 내려야 하는데, 점심을 먹지 않은 관계로 성산일출봉 근처 청진동 뚝배기에 들러서 오분작을 맛있게 먹고 올레길을 시작 하였다. 보너스로 안개에 가려진 성산일출봉 사진도 올려본다.

 

 

 

 

 

 

점심을 맛있게 먹고, 올레 2코스 시작점인 광치기 해변에 도착을 해서 본격적으로 올레길을 시작하였다.

 

 

 

 

 

 

 

 

 

 

 

 

 

 

 

아니 왠 말이 올레길을 가로 막는거지? -_-;

 

저 사진 왼편에는 작은 물웅덩이이었는데, 도저히 건널 수가 없어서 올레길 2코스 절반을 걷다가, 시간도 늦고 점점 어두워지고, 마침 시드 게스트 하우스 근처 이기도 하여서 여기서 올레 2코스를 끝내기로 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올레 2코스를 추천하지 않는다. 물론 올레길은 좋은 코스 이기는 하지만, 마을이 있는 올레길 말고, 자연적인 올레길은 말똥이 너무나도 많다- ㅜ.ㅜ

 

아무튼 말똥이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 결국 아래 시드 게스트하우스로 곧장 걸어갔다.

 

 

제주 올레길 4박 5일 동안 무려 3일 동안 묵은 시드 게스트하우스는 하루 숙박비 2만원이지만, 사장님의 친절과 느낌이 좋아서 마냥 느낌이 좋은 게스트하우스이다. 나중에도 묵고 싶을 정도로 느낌이 정말 좋다.

 

사장님께서 직접 키우시고 가꾸신 채소로 웰빙 푸드로 아침을 무료로 제공 해주시고, 올레 1-2코스, 성산일출봉, 우도행 선착장 등 언제나 픽업을 해주시는 사장님의 서비스에 감동을 받는다.

 

사장님.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다음에 또 성산 근처에 가게 되면 들를께요.

반응형
반응형

절친 종현이와 재훈이랑 가평 자라섬 오토 캠핑장으로 1박 2일 캠핑을 했다.

 

근데 왠걸? 난생 처음으로 겪어보는 설치부터 철수까지 우중캠핑을 즐겨 보았구나~ >.<

 

사이트는 가평 캐라반 사이트B-26으로 하였고, 승용차+SUV+돔텐트+헥사 타프를 차지할 수 있을 정도로 꽤 넓은 사이트더라. 그리고 배전반도 약 10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었고 말이다. (결국 20m 이상 릴선이 필요하다.)

 

 

그리고 금요일날 늦은 저녁에 출발을 해서 다행스럽게도 바베큐 파티를 할 수가 있었다. (약간 보슬비 맞긴 했지만- ㅎㅎ)

 

비 내리는 밤에 모닥불을 피워 가면서 여유로운 밤을 보냈는데, 하늘의 별을 볼 수가 없어서 아쉬웠다.

 

 

 

 

 

 

지금까지 어메니티돔 텐트와 헥사 타프를 따로따로 쳤었는데, 이번에 비소식이 있어서 처음으로 도킹 방식으로 위의 사진들처럼 텐트를 쳤다. 설치 순서에 대해서 항상 궁금했는데, 아래와 같이 치는 것이 정석이라고 한다.

 

1. 헥사 타프의 큰 폴대 쪽을 먼저 세운 후에 헥사 타프를 걸치고, 뒤에 작은 폴대를 좀 떨어져서 설치를 하고 웨빙 스트링으로 연장하여 웨빙 스트링을 쪼여서 헥사 타프와 웨빙 스트링을 팽팽하게 한다. (우중캠핑을 위해 큰 폴대 4개, 작은 폴대 3개)

 

2. 헥사 타프 밑에 그라운드 시트나 방수포를 깔고, 어메니티돔 텐트를 차근차근 설치한다. 이때 웨빙 스트링을 약간 느슨하게 하여서 어메니티돔 텐트가 헥사 타프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해주고 나서, 다시 웨빙 스트링을 쪼은다.

 

3. 그럼 깔끔하게 끝!

 

 

 

내 차인 라세티 프리미어와 종현이 차인 투싼이 주차를 할 수 있을 정도로 넓은 캐라반 사이트B!

 

 

간단한 아침을 훈제 오리와 수제 소세지 그리고 카레라이스! 서비스로 너구리 라면~ ㅎㅎ

 

 

 

자라섬 캠핑장 퇴실 시간이 낮 12시인 관계로 낮 10시 30분까지 비가 그치길 기다렸으나, 비가 그치질 않아서 빗속에서 다같이 조금 고생하면서 철수를 시작했다. (큰 검은 비닐 봉지에다가 타프, 텐트를 각각 따로 담고와서, 회사로 돌아와서 말렸다.)

 

아울러, 가평에서 춘천까지 거리가 꽤 가까워서(국도 40km 정도), 내가 자주가는 춘천 통나무 닭갈비를 먹으러 갔다. (춘천 신북읍, 소양강댐 근처)

 

아래 사진은 춘천 닭갈비! 우와~ 맛있겠다! ㅎㅎㅎ

 

 

 

 

친구 재훈이와 찰칵, 그리고 종현이와 여친은 프라이버시상 생략! ㅋㅋㅋ

 

저기 하트 모양의 닭갈비 볶음밥은 재훈이가 만들어줬다~ ㅎㅎ

 

 

금강산도 식후경이라는데, 닭갈비를 맛있게 먹고 소양강댐으로 산책을 하러 갔다. 사실 처음으로 다녀와본 곳인데 소양강 댐의 엄청난 포쓰에 당황!!!

 

나중에 소양강 댐의 방류를 보게 된다면, 절도 덜덜덜... 떨 듯.. ㅎㅎㅎ

 

 

 

마지막으로, 내 차량에 붙어 있었던, 자라섬 캠핑장 차량 출입증! (캐라반 사이트B기준 1박당 25,000원이다. 그리고 전기 가능하다.)

반응형
반응형

중학교 때 짝꿍 경욱이와 고등학교 친구 경원이랑 남자 셋이서 서해안 학암포 캠핑장에 모여서 함께 1박 2일 캠핑을 했다.

 

개인적으로 캠핑을 배우고 싶어서, 늘 나에게 도움을 주시는 넷째매형이 없이 처음으로 혼자서 스스로 캠핑을 시도를 해봤는데, 역시 쉬운게 아니더라!

 

이번에 처음으로 준비하면서 캠핑 계획표를 간단하게 만들어 봤는데, 아래에 첨부를 한다!

 

20120615_0616_서해안_태안_학암포.pdf

 

 

지난번 사내리 야영장과 달리, 학암포 야영장은 나무숲이 별로 없어서 타프가 필수인 것 같다. 사내리는 진짜 나무숲이 끝내줬는데..

 

햇빛이 많다보니, 흙먼지도 많이 날라 다니고.. -.-;

 

그래도 국립공원에서 예약 제도를 도입해서 관리를 하니까, 캠핑을 하러 왔는데 허탕을 치는 일이 없을테다.

 

1박 이용 기준 9,000원 (전기 사용료 2,000원 별도), 그리고 정오 12시부터 익일 정오 12시까지 사용 가능하다.

 

자리는 D, E구역을 추천한다. 왜냐하면 공영 주차장에 가까운 A구역, 캠핑장 내부에 있는 B, C구역은 답답해서 그렇다.

 

그리고 취사장과 화장실이 가까운 곳을 자리 잡으면 좋을 듯 하다. 나는 E-1 구역을 자리 잡았는데, 취사장과 화장실이 엄청나게 편하게 이용을 했다는.. ^^ 그리고 나무가 다른 곳에 많아서 다양한 캠핑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밤에 뒤에 비춰지는 단란한 불빛은 감수하시길.. ^^;

 

 

이제 혼자서 캠핑을 다니면서, 캠핑 기술을 진화 시키도록 해야겠다. 하면 할수록 캠핑 기술들을 하나둘씩 깨달아 간다.

 

 

 

 

 

반응형
반응형

현충일과 전날(6월 5일) 월차를 사용해서 1박 2일로 지리산 천왕봉을 1박 2일로 다녀왔다.

 

중산리에서 시작하여 로터리 대피소에서 하룻밤을 묵고, 새벽 3시에 일어나 천왕봉에 등정하여 아름다운 일출을 보고, 장터목 대피소를 거쳐서 백무동으로 내려왔다.

 

(등산 경로 : 중산리 -> 로터리 대피소 -> 천왕봉 -> 장터목 대피소 -> 백무동)

 

등산 난이도를 이야기 하자면, 등산 경험이 없으면 백무동에서 시작하는 편이 좋겠다. 백무동에서 출발하게 되면 평탄한 코스가 길게 이어져 페이스 조절을 하기 쉬울 듯 하다.

 

나같은 경우, 장터목 대피소 예약이 마감이 되어 로터리 대피소를 예약을 해버려서 중산리 부터 시작했는데, 로터리 대피소에서 급격한 탐방로로 인하여 몇번 토할 뻔한 순간을 너무나도 많이 겪어 버렸다.

 

실제로 장터목 대피소나 로터리 대피소에서 천왕봉에 오르는 소요 시간은 얼추 비슷하다. 자신이 체력이 된다면, 대피소 예약 마감이 덜한 로터리 대피소에 예약을 하여 중산리부터 등산을 시작해도 된다고 생각한다.

 

소요 시간은 1박 2일 동안 첫날 오후 2시부터 등산을 시작하여 오후 5시 즈음에 로터리 대피소에 도착을 하여 짐을 풀고, 다음날 새벽 3시까지 취침을 하고 새벽 3시부터 천왕봉으로 등산을 시작하여, 새벽 5시에 천왕봉에 도착을 하였다. 장터목 대피소를 거쳐 백무동으로 내려오니 아침 9시 40분을 가리켰다.

 

# 중산리 출발 : 오후 2시

# 로터리 대피소 도착 : 오후 5시 (소요시간 3시간)

# 천왕봉 도착 : 새벽 3시 - 새벽 5시 (소요시간 2시간)

# 장터목 도착 : 아침 6시 반 - 아침 7시 반 (소요시간 1시간)

# 백무동 도착 : 아침 9시 40분 (소요시간 2시간 10분)

 

# 총 소요시간 : 약 9시간 (등산 경로 : 중산리 -> 로터리 대피소 -> 천왕봉 -> 장터목 대피소 -> 백무동)

 

이렇게 하여 3대가 덕을 쌓아야 본다는 지리산 천왕봉 일출도 약 10분간 감상을 했다. 그러나 10분 뒤에 먹구름이 찾아 오면서 늦게 찾아온 사람들은 못 보게 되었다. 정말로 아름다운 일출의 한 장면이었다.

 

아래의 PDF 파일은 수원에서 지리산으로 여행하는 일정을 담은 파일인데, 참조하실 분은 참조하길 바란다. (부득이하게 예산 관련은 따로 적지 않았다.)

 

지리산 1박 2일 및 종주에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이 있다면 댓글을 달아 주시길 바란다.

 

 

20120605_0606_지리산_1박_2일.pdf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