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버지 생신을 맞이해서, 육남매에다가 매형 다섯분, 조카 11명이다보니,

그 많은 식구들을(총 24명) 다 먹이려면 최소 1.5마리씩 먹어야 하니까, 영덕대게 35마리가 필요하다... >.<

 

그러나 처음에 금전적인 부담이 있어서, 20마리만 주문을 했었는데,

나중에 여기 영덕대게 판매하는 주인장님이 급 이벤트로

B품 대게(약 10마리) 5만원에 핫소식을 올렸길래 냉큼 추가 주문을 했다.

(다행히도 먼저 주문한게 택배 발송 전이라서 택배비를 절약했다.)

 

자, 이제 본격적인 영덕대게 시식기를 올려볼까?

 

 

정식 주문을 한 중소자 대게(1마리당 16,000원) 20마리가 든 박스와 B품 대게인 박스가 합해져서 왔다.

이렇게 해서 택배비 4,000원을 절약하게 해준 주인장님께 감사!

처음에 고속버스 택배를 희망했지만, 생물 익일 택배로 받아보니까 굳이 고속버스 택배를 이용하지 않아도 될 듯!

거의 대부분 꿈틀꿈틀거리며 살아 있었다.

 

자, 이제 개봉을 해볼까?

 

 

위의 박스가 B품 대게인 박스인데, 아래 박스와 비교해도 크기가 다른 것을 볼 수가 있다.

아래는 중소자 대게가 든 박스!

 

그런데 주인장님께서 중소자 20마리에 2마리 서비스를 주시고,

B품 대게에는 13마리 정도로 평소 주문보다 5마리 정도 더 담아주셨다. 고맙습니다. 주인장님!

 

뭐, 일단은 다들 싱싱해 보이긴 했다.

 

 

초근접해서 대게를 찍어 보았다. 아쉽게도 살이 꽉차 있이 않다는 느낌은 보일테다.

아마도, 중소자여서 그럴까? 다음에는 큰거 하나 시켜 봐야겠다.

대게 뱃부분을 살펴봐도, 까만게 안 보이니까, 나름 죽지 않고 싱싱하다는 의미겠죠?

 

 

박스에 포함되었던 명함을 한번 찍어올림!

주인장님의 대게가 맛없지 않았었기 때문에, 이렇게 명함과 전화번호, 주소를 공개 합니다.

그러나, 시식기는 아직 시작 안했어요... @.@ (자~ 긴장하세요!)

 

 

중소자 대게 한마리를 잡았더니, 너무 작음... ㅜ.ㅜ

B품 대게도 저거보다 훨씬 작았음... ㅜ.ㅜ

아, 돈을 좀더 투자하고 중자나 대자로 가야헸는데, 그놈의 돈이 없는게 참으로 恨이구만요!!!

 

 

냄비에 물을 조금 붓고, 비린내를 없애기 위해 맥주도 넣고, 대게를 삶기 전에 한번더 찰칵!

 

 

솥단지 두개에다가 대게 30마리 몽땅 넣었음! ㅋㅋㅋ

차곡차곡 쌓아넣는 재미가 아주 재미있네요? ㅎㅎㅎㅎㅎ

 

자, 이제 22~25분 정도 찌다가, 연기가 펄펄 나기 시작하는데 냄새를 맡아서, 고소한지 비린내 나는지 확인을 했는데,

맥주를 부어서 그런지 취하네요? >.<

아무튼 비린내가 심하게 나지 않은 관계로 뚜껑을 열었더니, 아래와 같이 맛나게 익었네요? ㅎㅎㅎ

 

 

다들 그렇듯이, 먹는 과정은 절대로 찍을 수 없다.

 

저렇게 맛난 대게를 눈앞에 두고 사진 찍을 정신이 어디 있느뇨? ㅎㅎ (아, 게장밥을 비빈 밥그릇 마저 못 찍었구나...)

 

즉, 더이상 무슨 설명을 필요하리요? ^^;

 

 

 

이렇게 영덕대게 40마리가 순식간에 사라졌지만, 내심 아쉬운 편이 있다. 그에 대해 이야기를 하자면,

 

첫째, 사이즈가 너무 작았다... (중소라서 감안했지만, 너무 작은 편... 가격대비 사이즈가 너무 아쉬움...)

 

이에 대한 해결책은 내가 돈 많이 벌어서 대자나 중자를 먹던가 해야겠다. (근데 은근 비싸다...)

 

둘째, 대게 축제가 슬슬 다가온다는데, 왠지 2월말에 먹는 영덕대게라서 그런지 살이 덜 찼다... (대게는 벼를 벨 때와 모를 심을 때 가장 맛있다는 풍문을 알고 있으니...)

 

그래도 대게는 게맛살을 먹는게 아니라, 게장밥을 먹는게 진정한 게맛을 아는게 아닌가? (그러나, 진정한 게맛을 모르고 양만 따지는 조카들의 양이 너무 적다는 불만섞인 어투는 어쩔 수가 없음....)

 

 

 

그래도 첫 주문을 했는데, 온라인 구매는 불안한 부분이 있었지만, 사이즈와 가격을 빼고는 조금 만족스러운 편이다. 사실대로 말하자면, 우왕굿!!! 이라고 느낄 정도로 맛있게 먹지는 않은 듯....

 

하지만, 시장에서 사먹는 가격을 생각하면 온라인 주문도 조금은 생각해봐도 좋다.

 

아무래도 대게살이 꽉 찼을 때, 한번더 주문을 해서 다시금 게맛을 알아봐야겠다. 아니면 3월 하순에 영덕에 가서 게맛을 보러 가볼까나?

 

다음번에 먹었을 때는 모든 면이 만족스러운 후기가 나왔으면 좋겠다~! 으쌰~ 으쌰!!!

 

 

* 영덕대게 온라인 주문 카페 : http://cafe.naver.com/a2994

반응형
반응형

[외환 크로스마일 SE]

- 이 카드로만 전월 실적(회수) 50만원 이상

- 스타벅스 8,100원 정액 할인 (월 1회)

- CGV 콤보 세트 무료 (월 1회)

- 1,500원당 2마일 적립 (추후 아시아나 마일리지로 1.2배 전환 가능)

 

# 2013년 9월부터 외환 크로스마일 SE 서비스가 개악...... 자세한 내용은 검색하세요! #

 

[KB 올레 KT]

- 이 카드로만 전월 실적(회수) 30만원 이상

KT 요금 9천원 정액 할인

- 통신 요금 실적 포함 (할인 금액만 제외)

 

* 굴비 카드로 전월 실적(회수) 30만원 이상 할인 혜택 List - KB 올레 KT로 반굴비 가능*

[KB 마이원]

- 월 2회, 연간 10회 1매당 4천원 할인

 

[KB The CJ]

- 월간 횟수 제한 없이 연 12회, 8,500원 이상 6천원 할인 및 8,500원 이하 3천원 할인

 

[KB &D - 발급 중단]

- 커피숍, 패밀리 레스토랑 20% 포인트리 적립 (각각 월 2만원 한도)

- YES24 12% 포인트리 적립 (월 1만원 한도)

- 월 4회, 연간 12회, 맥스무비에서 1매당 3,500원 할인

 

[KB Star]

- 월 4회, 연간 12회, 맥스무비에서 1매당 3,500원 할인

- http://kbculture.maxmovie.com/ 를 이용하면, 수수료 선착순 면제 및 추천 영화 1매당 2천원 할인

 

[KB 이마트]

- 전월 실적에 따라 7만원 이상 5%(기본), 7%(3개월 평균 100만원 이상), 10%(3개월 평균 150만원 이상) 할인 (월간 최대 2만원)

- 월 4회, 연간 12회, 인터파크에서 1매당 4,000원 할인

 

[KB SK 스마트, GS 칼텍스]

- 리터당 60원 할인 (기본)

- 3개월 평균 100만원 이상 사용 시, 리터당 100원 할인

- 매년 엔진오일 무료 교환 (각각 1회씩, 연초에 Reset, 매년 1월 1일부터 가능)

 

 

 

이렇게 실적 조건을 고려하면서 계획적으로 소비를 하고, 한달에 최소 80만원의 실적이 채워졌다면,온갖 할인 혜택을 누리고, 나머지 결제 예정 금액들은 체크 카드를 사용해서 연말정산 신용카드&체크카드&현금영수증 공제율을 높이는게 현명한 소비 생활이다.

 

기본적으로 소비하는 고정 항목들은 위의 실적을 필요로 하는 카드로 자동이체나 결제를 함으로서, 불필요한 지출을 지향해야겠죠?

반응형
반응형


 

그동안 너무 고생 하셨습니다. 변함없이 지지 하겠습니다.

다시 온다면, 반갑게 맞이할 수 있도록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지금 대한민국은 상식과 정의를 잃어 버린지 5년 지났으니까요. 지난 5년도 모자라서, 또 5년이라는 허송세월을 보내야 합니다.

저는 상관 없지만, 나의 조국이 아파하고 신음하고 있다는 것이 슬프네요.

고맙습니다. 유시민씨.

 

반응형
반응형

이번에 총각 신분치고 제대로 방어를 했다. 2012년도 연말정산 결과, -265,570원을 돌려 받는다.

 

내년(2014년 제출분) 2013년도 연말정산은 올해 상여금을 480% 가까이 받은 관계로 근로소득수입이 엄청 늘어버린다. 그래서 미리미리 공제 항목을 만들어서 아래와 같은 과세 비율에 따른 커트라인에 걸치도록 해야겠다.

 

 과세 표준 금액 그리고 산출세액 퍼센티지

1200만원 이하 6% (올해 소득과세 표준 금액은 11,078,997원, 차량유지비 240만원 비과세 처리하길 다행!)

4600만원 이하 15%

8800만원 이하 24%

 

내년에도 근로소득 공제받은 근로소득금액에서 소득공제 합계를 빼서 1200만원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 소득공제 항목을 필살기 써가면서 잔뜩 모아야겠다.

 

일단, 내가 알고 있는 총각으로서, 연말정산 산출세액 절세를 위한 소득공제 항목은 아래와 같다.

 

1. 자신의 차량, 차량 유지비 명목으로 년240만원 비과세 적용 하기.

자신의 명의로 된 차량을 보유하고 있으면, 회사 경리팀에 자동차등록증 사본을 들고 차량유지비 명목으로 비과세 등록을 해달라고 합니다. (월 20만원, 년 240만원 비과세 처리 - 이로 인해 과세 구간과 소득세 절감 효과가 있지요.)

식대도 월 10만원, 년120만원 이것도 비과세 처리가 되는데, 이건 영업팀 제외하고는 잘 안해주네요.

 

2. 신용카드, 현금영수증, 직불카드 등 평균적으로 년300만원 max 공제 받기 (총 급여의 25% 이상)

 

3. 술과 담배 등 각종 유흥비를 줄여서, 형편이 되는데 까지 기부하기 (정치 기부금 포함)

 

4. 무주택자 세대주로서, 청약저축불입금액 년120만원에 대하여 40%(48만원) 공제 받기 (분양 받을때까지 해지하면 안되요~) 

 

올해 지출 예정 항목에서, 의료비(본인/경로자/장애인 의료비) 세액공제 (총 급여의 3%를 넘겨야 공제 가능하므로, 계산을 잘해보고 영수증을 모으는 헛수고를 하지 말도록)를 챙기고, 정치인 후원을 해서 정치자금기부금 세액공제를 받아야 겠다. 아, 어머니께서 47년생 이셔서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경로 우대(70세~)도 받을 수 없구나.

 

지금까지 생각나는 항목은 위와 같으니까, 다른 내용이 있는지 좀더 찾아봐서, 과세표준 1,200만원 이하가 나올 수 있도록 열심히 노력을 해봐야지!!!

 

내용 추가, 2012.02.19. > 신용카드 공제 300만원 받기 위해서, 신용카드 20%와 체크카드 30%인데, 나는 주로 신용카드를 쓰므로, 공제전 1,500만원에다가 총급여액의 25%인(4,500만원) 예상 금액은 1,125만원을 적용해서, 신용카드 공제 혜택을 받기 위해서 2,625만원 어치를 써야 된다... -.-;

 

어머니 신용카드 사용금액을 포함해서 어떻게든 넘겨야 겠네.. -.-; (신용카드 공제는 300만원과 연봉(총급여)의 20%에서 적은 금액으로 공제)

 

반응형
반응형

 

 

올해로 보더로써 3시즌 째를 맞는다. 몸 푸면서 가볍게 턴을 하는 모습~~

 

이거보다 좀더 낮게 카빙턴 비스무리하게 탈 수 있는데, 동영상에 못 담은게 아쉬울 뿐... ㅎㅎ

 

이번 주에 영재한테 한번 찍어 달라고 해봐야겠다~ ^^

반응형

'Life >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Covid-19) 사태를 바라보며...  (0) 2020.02.27
오랜만에 글을 남긴다.  (0) 2016.05.09
2012년도 연말정산!  (0) 2013.01.16
아, 새해가 밝았구나.  (0) 2013.01.07
즐거웠던 사과밭 과수원 일손 도움 체험  (0) 2012.11.05

+ Recent posts